반응형
“결혼했더니 집값 걱정이 시작됐다”
신혼부부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주거입니다.
정부는 결혼 초기 자금이 부족한 신혼부부를 위해 다양한 전세 및 주택 구입 자금 대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, 신혼부부가 받을 수 있는 주요 대출제도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1️⃣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 (버팀목 전세자금대출)
- 대상: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신혼부부
- 소득 기준: 부부합산 연 소득 5천만원 이하 (2자녀 이상 6천만원 이하)
- 대출 한도: 최대 2.2억원
- 금리: 연 1.2~2.1% 수준 (소득 및 보증금에 따라 차등)
- 특징: 일반 전세대출보다 금리 저렴, 예비 신혼부부도 가능
2️⃣ 신혼부부 전용 주택구입 자금대출 (디딤돌 대출)
- 대상: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신혼부부
- 소득 기준: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 (생애최초 8천만원 이하)
- 주택 조건: 주택가격 5억원 이하
- 대출 한도: 최대 2억원
- 금리: 연 1.85~3.0% (우대금리 적용 가능)
- 특징: 생애 최초 구입 시, 자녀 수 따라 추가 우대금리
3️⃣ 신혼희망타운 모기지대출 (HUG 특별공급 연계)
- 대상: 신혼부부 및 예비부부 (혼인 7년 이내)
- 대상 주택: 정부 공급 신혼희망타운 등 특별공급
- 대출 한도: 최대 분양가 70%까지
- 금리: 고정금리 약 1.3~2%대 (주택도시기금 기준)
- 특징: 청약과 대출을 함께 고려해야 함, 청약 우선순위 적용
📌 Tip: 중복 불가 주의사항
- 버팀목과 디딤돌 대출은 동시에 불가
- 기존 주택 소유자 또는 고소득자는 제한
- 각 대출마다 은행별 상담 필요 (국민·우리·신한 등 주택도시기금 취급은행)
✅ 마무리 정리
버팀목 전세자금대출 | 전세 | 2.2억원 | 1.2~2.1% |
디딤돌 구입자금대출 | 구입 | 2억원 | 1.85~3.0% |
신혼희망타운 모기지 | 분양 | 분양가 70% | 1.3~2% |
반응형
'각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급여 2025년 얼마 받나?|지급 시기와 조건 (0) | 2025.07.28 |
---|---|
전기세 아끼는 생활습관 7가지 (1) | 2025.07.27 |
은행 대출 갈아타기|이자 줄이는 꿀팁 (0) | 2025.07.26 |
핸드폰 요금 아끼는 방법|알뜰폰 제대로 활용하는 팁 (0) | 2025.07.25 |
개인회생과 파산의 차이점|무작정 선택하면 안 되는 이유 (0) | 2025.07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