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각종 정보50

“직장 내 괴롭힘 신고하면 어떻게 되나요?|신고부터 조사, 보호조치까지 모두 정리” 🟡 들어가며직장 내 괴롭힘—많은 직장인이 겪지만, “신고해도 달라지는 게 없지 않나?” 싶기도 합니다.하지만 2021년 개정된 근로기준법은 신고부터 조사, 징계, 보호 조치까지 명확한 절차와 권리를 규정하고 있습니다.이 글에서는✔︎ 신고 방법✔︎ 회사의 조사 및 조치 의무✔︎ 신고자 보호 및 사후 절차를 법적으로 정리합니다. 실무자와 직장인 모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담았습니다.✅ 1. 누구나 신고할 수 있다근로자든, 사용자가 알게 된 피해자든,“괴롭힘 발생 사실”을 회사에 신고할 권리가 있습니다.📜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1항“누구든지…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.” ✅ 2. 신고 즉시 회사의 조사 의무회사가 이를 인지하거나 신고를 접수하면,즉시 객관적인 조사를 실시해야 하며, 지체.. 2025. 6. 26.
“비과세 항목 정리|2025년 기준 실수령액 늘리는 월급 설계 꿀팁” 🟡 들어가며“월급은 같아도 실수령액이 더 많은 직원이 있다?”그 비결은 **‘비과세 항목’**에 있습니다.비과세 수당을 제대로 활용하면✔ 실수령액은 늘고✔ 4대보험·소득세 부담은 줄어듭니다.이번 글에서는✅ 2025년 기준으로 인정되는 비과세 항목과✅ 실무에서 놓치기 쉬운 적용 요건✅ 인사담당자/직장인이 활용 가능한 팁을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✅ 1. 비과세 항목이란?비과세 수당 = 근로자의 소득에 포함되지만소득세와 4대보험에서 공제되지 않는 항목✔ 실수령액에는 포함되지만❌ 세금, 보험료 산정에서 제외됩니다.✅ 2. 대표적인 비과세 수당 목록 (2025년 기준)식대10만 원실비 변상 성격일 것자가운전보조금20만 원차량 소유 및 업무용 사용 증빙육아수당월 10만 원만 6세 이하 자녀에 대해출산·보육수당전액 .. 2025. 6. 25.
“월급 실수령액 계산법|2025년 4대보험 공제 내역 완전 정리” 🟡 들어가며“연봉 3,000인데 왜 월급은 200만 원도 안 돼요?”“세금이 빠지긴 하는데, 정확히 뭐가 얼마씩 빠지는 거죠?”월급 명세서를 봐도 잘 이해되지 않는 항목들,특히 4대보험 공제는 실수령액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2025년 기준으로 바뀐 요율과 계산방식까지 포함해서실제 월급 실수령액 계산법을 예시와 함께 정확히 정리합니다.✅ 1. 월급에서 빠지는 항목은?월급에서 공제되는 대표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:의무공제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선택공제 (사업장별 상이)소득세, 지방소득세, 식대, 사내대출 상환 등 이번 글에서는 의무공제 항목 = 4대보험 + 세금만 다룹니다.✅ 2. 4대보험 공제 항목별 요율 (2025년 기준)국민연금9.0%4.5%4.5%건강보험7.29%3.645%.. 2025. 6. 25.
“퇴직금 포함 월급제, 정말 괜찮을까?|법률&판례로 보는 퇴직금 포함급여의 진실” 🟡 들어가며“연봉에 퇴직금 포함됐다고 하지만, 따로 받지 않아도 되는 거 아니야?”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하면 괜찮을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하지만 근로기준법과 퇴직급여보장법은 퇴직금의 본질을 보장하는 강행법규로,단순히 “월급에 포함했다”고 해서 퇴직금 지급을 면할 수 없습니다.✅ 핵심: “퇴직금 포함 월급제”, 법적으로 확인된 진실✅ 결론:퇴직금을 매월 급여에 포함시킨 합의는 원칙적으로 ‘무효’입니다.따라서, 퇴직 시 별도의 퇴직금 지급이 필요하며, 미지급 시 근로자가 추가 청구 가능하고, 회사는 부당이득 반환 청구권이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.📜 1. 법리와 판례 근거▪️ 법적 근거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5호: 퇴직금도 임금의 일종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8조: 지급안내 강행조항 ▪️ 판례 판단**.. 2025. 6. 24.
계약직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?|근로기준법·행정해석·판례로 보는 3가지 사례 🟡 들어가며“계약직은 퇴직금 대상 아닌가요?”이런 의문 많이들 들어보셨죠.그런데 실제로 계약직도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이번 글에서는근로기준법의 법적 기준고용노동부 행정해석과 실제 판례현실 계약직 사례 3가지를 통해 퇴직금 지급 여부를 명확히 정리합니다.✅ 1. 퇴직금 지급의 법적 기준📌 근로기준법 제34조 (퇴직급여제도)“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퇴직할 때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해야 한다.” 조건: ① 기간제·단시간·계약직 등 모든 근로형태 “관계없이”② 4주 동안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,③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경우 적용되며,④ 1년 미만은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님 easylaw.go.kr+4moel.go.kr+4ptsgb.org+4pts.. 2025. 6. 24.
“퇴사 전 연차 다 쓰고 나가도 되나요?|연차사용 가능 기준과 회사의 대응 정리” 🟡 들어가며“퇴사일 전에 남은 연차 다 쓰고 퇴사하겠습니다.”직장생활 중 한 번쯤은 해봤거나 들어본 말이죠.그런데 회사에서는“퇴사자 연차는 못 써요”“바쁜데 무단결근 아냐?”“사직서 냈으면 남은 연차도 포기한 거죠?”이런 식으로 대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과연, 퇴사 전 연차를 전부 사용하는 건합법일까요? 아니면 회사 허락을 받아야 할까요?실제 법령과 판례 기준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.✅ 1. 퇴사 전 연차 사용은 가능하다📌 핵심 요약✅ 퇴직 전 남은 연차를 사용하는 것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.❌ 회사가 일방적으로 막을 수 없습니다.📎 근로기준법 제60조 제5항“사용자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발생한 연차유급휴가를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.”🔹 즉, **연차는 기본적으로 ‘유급휴.. 2025. 6. 23.
반응형